-산업구조의 대형화 및 다양화로 소방대상물(건축물·시설물)이 고층·심층화되고, 고압가스나 위험물을 이용한 에너지 소비량의 증가 등으로 재해발생 위험요소가 많아지면서 소방과 관련한 인력수요가 늘고 있다. 소방설비 관련 주요 업무 중 하나인 화재관련 건수와 그로 인한 재산피해액도 당연히 증가할 수 밖에 없어 소방관련 인력에 대한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므로 본 과정은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.
위험물 기능장 자격을 취득하고자하는 사람
위험물을 발화성, 인화성, 가연성, 폭발성 때문에 사소한 부주의에도 커다란 재해를 가 져올 수 있다. 또한 위험물의 용도가 다양해지고, 제조시설도 대규모화되면서 생활공간과 가까이 설치되는 경우가 많아짐에 따라 위험물의 취급과 관리에 대한 안전성을 높아지므로 이를 잘 대처하도록 훌륭한 기술인력을 배출함이 목표이다.
나현욱 관리사
차시 | 내용 |
---|---|
1차시 | 제1차시 화화식 및 출제경향분석 |
2차시 | 제2차시 화학반응원리 및 탄화수소 분류 |
3차시 | 제3차시 구조식 및 시성식 |
4차시 | 제4차시 이상기체 상태 방정식 |
5차시 | 제5차시 위험물 분해 방정식 |
6차시 | 제6차시 위험물 1류 주요 반응식 |
7차시 | 제7차시 위험물 지정수량 및 종류 |
8차시 | 제8차시 위험물 2류, 3류와 금속과의 반응식 |
9차시 | 제9차시 위험물 2류, 3류의 주요 반응식 |
10차시 | 제10차시 4류 위험물 특성 |
11차시 | 제11차시 연소공학 |
12차시 | 제12차시 소화약제 |
13차시 | 제13차시 위험물 소방 및 완전 연소 반응식 |
14차시 | 제14차시 위험물 안전 관리법 |
15차시 | 제15차시 위험물 안전거리및 보유공지 |
16차시 | 제16차시 위험물 제조소 위치, 구조 설비의 기준 |
17차시 | 제17차시 옥내저장소, 옥외및 옥내 탱크저장소의 위치, 구조 및 설비 기준 |
18차시 | 제18차시 지하, 간이, 이동탱크 저장소의 위치, 구조및 설비의 기준 |
19차시 | 제19차시 주유, 판매, 이송, 일반 취급소의 위치, 구조 및 설비의 기준 |
20차시 | 제20차시 위험물의 저장 및 취급, 소비, 운반에 관한 기준 |
평가항목 | 진도율 | 시험 | 과제 | 진행단계평가 | 수료기준 |
---|---|---|---|---|---|
평가비율 | - | 40% | 40% | 20% | - |
수료조건 | 80% 이상 | 0점 이상 | 0점 이상 | 0점 이상 | 60점 이상 |